토정비결이란

옛 선조들은 새해가 되면 운세를 뽑아 한해를 계획하는 데 참고하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그중 토정비결은 사랑받는 운세 예측 방법의 하나입니다. 토정비결은 여덟개의 괘를 사용합니다. 여덟개는 1)하늘과 2)땅을 중심으로 3)물과 4)불과 5)산과 6)연못과 7)천둥과 8)바람을 의미합니다. 모두 자연에서 영감을 얻은 것입니다. 하늘과 땅을 나타내는 괘는 두개의 조합으로 모두 여섯이 생기는데 이를 육효라고 부릅니다. 육효는 해마다 변하는 수를 셋으로 봅니다. 이를 종합하면 하늘과 땅의 8괘와 6효와 3개의 변수가 생기는데, 모두 나열하면 144개의 형상이 나옵니다. (8X6X3 = 144). 토정비결은 144개의 형상에 계절 순환 법칙에 따라 의미를 붙인 것으로 조선 시대의 학자 토정 이지함이 지은 것으로 전해집니다.


토정 이지함

1517~1578년 조선 시대 선조 때 문인으로 본관은 한신이고 호는 수산, 토정 시호는 문간입니다. 호를 토정이라고 한 이유는 마포 강변에 흙으로 된 움막집에서 청빈한 삶을 살았기 때문이라 전해집니다. 어려서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맏형에게 글을 배우다 서경덕의 문하에 들어가 수학했습니다. 스승 서경덕의 가르침으로 역학, 의학, 수학, 천문, 지리에 능통했습니다. 1573년 포천 현감이 되었으나 이듬해 사직했으며 1578년 아산현감으로 있을 때 걸인청을 만들기도 했습니다. 당시 생활고에 시달리는 서민들을 위해 주역의 384효를 근간으로 상·하 2권의 비결집을 내놓았으나 이를 이용하여 무위도식하는 사람과 악용하는 사례가 늘어나자 이를 피하고자 하권은 감추어 현재는 144개만 전해지고 있다고 합니다.